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6월 26일 (수)
전체메뉴

금강송- 정수자(시조 시인)

  • 기사입력 : 2012-11-08 01:00:00
  •   






  • 군말이나 수사 따위 버린 지 오래인 듯



    뼛속까지 곧게 섰는 서슬 푸른 직립들



    하늘의 깊이를 잴 뿐 곁을 두지 않는다



    꽃다발 같은 것은 너럭바위나 받는 것



    눈꽃 그 가벼움의 무거움을 안 뒤부터



    설봉의 흰 이마들과 오직 깊게 마주설 뿐



    조락 이후 충천하는 개골의 결기 같은



    팔을 다 잘라낸 후 건져 올린 골법 같은



    붉은 저! 금강 직필들! 허공이 움찔 솟는다

    정수자 시집 <허공 우물>에서

    ☞ 나무야, 나무야, ‘뼛속까지 곧게 섰는 서슬 푸른’ 나무야. 그대의 강직한 품새는 하늘의 깊이와 이치를 터득하기 위한 의지로 충만하구나.

    소나무의 제왕으로 불리는 금강송, 살아 천 년, 죽어서도 천 년을 간다는 나무. 예로부터 우수한 목재로 인정받아온 금강송은 조락 이후 충천하는 개골의 결기로 무장한다. 이제 금강송은 그 자체로 허공을 움찔 떨리게 하는 금강 직필의 문자가 된다.

    나무야, 나무야, ‘설봉의 흰 이마들과 오직 깊게 마주’서는 나무야. 그대 속에 흐르는 피가, 금강 직필의 문자가 바로 시조로구나. 금강송의 결기가 시조 미학의 형식이고 음률이구나. -김진희(시조시인)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