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세계유산 등재 가야고분군] (3) 김해 대성동고분군1~5세기 금관가야 최고 지배층의 대표 고분군
구지봉·봉황동 유적 사이 구릉 위치1990년 도시개발 지표조사 때 발견
초기 김해만 통한 교역 기반으로가야연맹 유력한 정치체로 성장
발굴로 전기가야 중심 고분군 판명가야 성립·전개 연구 큰 가치 지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이종구 기자 2023-09-21 20:55:49
[기획- 세계유산 등재 가야고분군] (2) 함안 말이산 고분군기원 전후~6세기 가야고분군 변화 보여주는 유일 고분군
아라가야 대표 유적·1000여기 추정총면적 79만7282㎡ 경남 최대 규모
남북 2㎞ 능선 자리한 대형 봉토분탁월한 경관적 가치 대표하는 유산
덮개석 새겨진 남두육성·별자리발전된 가야 천문사상 실증 자료
함안 말이산 고분군은 아라...김명현 기자 2023-09-20 19:55:28
[기획- 세계유산 등재 가야고분군] (1) 합천 옥전고분군화려한 금속공예기법 유물·국제교류 증거 로만글라스 출토
가야고분군(Gaya Tumuli)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됐다. 가야고분군은 1~6세기에 걸쳐 한반도 남부에 존재했던 가야를 대표하는 7개 고분군이다.
도내 △김해 대성동고분군 △ 함안 말이산고분군 △ 창녕 교동과 송현동고분군 △고성 송학동고분...김명현 기자 2023-09-18 11:12:49
[가야역사를 찾아서] (20·끝) 불멸의 가야문화(伽倻文化)잊혀진 왕국 아닌 ‘영원한 가야’를 꿈꾸다가야가 이 땅에서 사라진 지도 1500여년이 지났다. 가야는 우리나라 고대국가시대 때 고구려 신라 백제만의 3국이 아닌, 당당한 4국시대를 열어가며 한반도 남부지방에 찬란한 문화를 꽃피웠던 나라다. 그러나 문헌사료의 절대 부족과 또 기록이 왜곡 말살되고 의도...2017-11-27 22:00:00
[가야역사를 찾아서] (19) 비밀 간직한 고분(古墳)무덤 속에서 잠자는 가야 역사▲고분유물, 가야역사 복원에 중요한 자료가야는 역사적 실체를 증명할 기록이 거의 없다. 역사에서조차 ‘신비의 나라’ 또는 ‘잊혀진 왕국’ 등 설화(說話)에 의존한 작은 왕국 정도로만 취급하며 가볍게 다뤄져 왔다. 또 신라에 귀속된 뒤로는 역사마저 신라에 포함...2017-11-20 22:00:00
[가야역샤를 찾아서] (18) 가락궁궐(駕洛宮闕)궁궐은 온데간데없고 역사만 잠자고 있다왕조시대에 왕실의 권위와 나라의 규모를 가늠할 수 있는 기준이 궁궐이다. 지리적 행정적으로 나라의 중심이 되는 곳에 왕도(王都)를 정하고 왕도의 가장 중요한 자리에 큰 집을 지어 왕이 거처하면서 정사를 펴는 곳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예로부터 궁궐은 나라와 ...2017-11-13 22:00:00
[가야역사를 찾아서] (17) 가야불교(伽倻佛敎)인도서 불교 직접 전래… 한반도 최초로 추정김해에는 가야불교 전래설을 뒷받침하는 유적 유물들이 많다. 수로왕후 허황옥의 모국, 인도 아유타에서만 볼 수 있는 불교의 상징인 코끼리상과 신어(神魚)문양, 파사석탑(婆娑石塔) 그리고 절터 등이 곳곳에 남아 있다. 코끼리상과 신어는 수로왕릉 앞 납릉정문(...2017-11-06 22:00:00
[가야역사를 찾아서] (16) 가야철기(伽倻鐵器)철기문화 꽃피운 ‘철의 왕국’ 가야▲무기·농기구 다량출토 철의 왕국 입증가야는 철(鐵)의 왕국이다. 김해를 중심으로 한 옛 가야지역은 철의 대량생산으로 고대 가야국이 국가적으로, 그리고 우리나라 고대사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게 된 것도 바로 철 생산 때문이었다. 가야 제국(諸國)은 다만 6개...2017-10-30 22:00:00
[가야역사를 찾아서] (15) 가야토기(伽倻土器)흙그릇에 담긴 가야인의 숨결과 체취신비의 베일에 가려져 있는 500년 가야역사의 빈 공간을 무엇으로 메울 것인가. 가야사를 연구하는 학자들과 옛 가야 땅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이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의 해법을 구하기 위해 안간힘을 쏟고 있지만 가야역사는 좀처럼 우리에게 문을 열어주지 않고 ...2017-10-23 22:00:00
[가야역사를 찾아서] (14) 가야차(伽倻茶)가야문화는 차향으로 시작되다
▲허왕후 시집올 때 가져온 혼수품
가락국 시조대왕 김수로(金首露) 왕의 왕후 허황옥(許黃玉)이 인도 아유타국에서 시집올 때 가지고 온 혼수품 중에는 옥합에 든 차(茶)의 씨앗을 비롯, 수를 놓은 비단옷과 금, 은, 주옥으로 만든 장신구 등이 가득 들어 있었다...2017-10-16 22:00:00
[가야역사를 찾아서] (13) 가야금(伽倻琴)가야금 만든 가야국 출신 우륵 ‘우리나라 3대 악성’
아래 가야 한 곡조여이산(耳山)에 줄을 걸어 백결(百結)의방아타령과극종(克宗)의 평조(平調)가락을 타네금곡(琴谷)에 올라가 길게 탄식하나니고국은 아득한데 노래 가락만 남았구나이 악기의 훌륭함을 찬미하고그 이름이 유구(悠久)함을 회상하노라
...2017-10-10 07:00:00
[가야역사를 찾아서] (12) 가락국 마지막 왕의 무덤 구형왕릉(仇衡王陵)“돌무덤 속에서라도 가야 백성을 지키겠노라”▲어찌 흙속에 묻힐 수 있으랴‘나라를 보전하지 못한 내가 어찌 흙 속에 묻힐 수 있으랴. 차라리 돌 속에 들어가서라도 가야백성을 지키겠노라.’ 신라에 나라를 넘겨준 가락국의 마지막 왕 구형왕(仇衡王)은 별궁인 산청의 지리산 수정궁(水晶宮)에서 나라 잃은 설움...2017-09-25 22:00:00
[가야역사를 찾아서] (11) 비화가야(非火伽倻)창녕 일대 비사벌땅, 유물·유적 많아 ‘제2의 경주’
창녕읍 화왕산 자락 교리와 송현리 일대에 걸쳐 있는 사적 제514호 교동과 송현동고분군.
▲제2의 경주, 가야시대 유적 유물 즐비창녕은 화왕산(火王山) 기슭에서 낙동강 연안의 벌판을 거느리고 있는 옛 가야의 도읍지이다. 창녕읍내로 들어오는 길목 여기저기에...2017-09-19 07:00:00
[가야역사를 찾아서] (10) 고령가야(古寧伽倻)낙동강 요충지에 건국했지만 짧은 역사로 잠들다경북 상주시 함창읍은 낙동강 중류에서 남해에 이르는 가야의 권역 중 최북단에 위치한 고령가야(古寧伽倻)의 고도(古都)다. 이곳에서 하류로 고령(대가야) 성주(성산가야)는 경북에 있고 김해(가락국) 함안(아라가야) 고성(소가야)은 경남에 있어 6가야는 낙동강 연...2017-09-11 22:00:00
[가야역사를 찾아서] (9) 성산가야(星山伽倻)아련하게 남은 역사 흔적… 깨어날 준비하다▲수로왕 넷째 동생 벽로(碧露)가 건국성산가야(星山伽倻)의 고도(古都)인 경북 성주 (星州)에는 옛 가야의 흔적을 찾을 수가 없다. 성주 땅은 가야문화권의 찬란한 역사와 전통이 빛나는 유서 깊은 고장이라는 이 고장 사람들의 자부심에도 불구하고 성주는 가야역...2017-09-04 22: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