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28일 (목)
전체메뉴

[기획] 610년 창원시, 미래를 묻는다 (4) 성장통-도시경쟁력

주력산업 위기로 경쟁력 ‘내리막길’…재도약 대책 필요

  • 기사입력 : 2018-12-18 22:00:00
  •   

  • 창원시는 지난 2010년 통합시 출범으로 인구, 면적, 지역내총생산 등 도시 규모 면에서 전국 1위의 기초지자체이자 대한민국 8대 규모의 도시로 거듭났다.

    창원시 인구는 통합 당시 108만명에서 출발해 한때 110만명에 근접했고, 통합 초기 2년간 글로벌 경제위기와 저성장·장기침체 속에서도 경제성장의 속도나 규모, 질적인 면에서 발전을 거듭했다. 그러나 2013년 이후 성장세가 꺾였다. 통합 8년을 넘긴 현재의 창원시는 주력산업의 위기와 인구 감소 등으로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어 재도약이 절실하다.

    ◆창원시 경제

    창원시는 지난 2010년 통합시 출범으로 인구 108만, 면적 747㎢, 지역내총생산(GRDP) 33조원에 달하는 메가시티로 올라섰다. 도시의 외형만 커진 것이 아니라 수출액이나 GRDP가 느는 등 성장세를 보여 왔다. 그러나 불과 몇 년 사이 경제 침체의 늪으로 빠져 들고 있는 모습이다. GRDP는 지역 경제 규모를 가늠하는 척도다.

    창원시의 GRDP는 통합 전인 2009년 31조6444억원(옛 창원·마산·진해 합산)에서 통합 이후 매년 늘어 2010년 33조6788억, 2011년 34조9586억, 2012년 36조1487억으로 정점을 찍었다. 그러나 2013년부터 하락해 36조153억, 2014년 35조6786억까지 떨어진 뒤 2015년 35조8667억원으로 회복했다.

    메인이미지

    이 GRDP의 집계 기준을 달리하면 경제 규모의 하락세가 더욱 극명하게 나타난다. 앞서 언급한 GRDP는 ‘명목 GRDP’로 물가변동을 감안한 통계청 수치로 주로 행정에서 발표한다. 물가변동을 배제하고 실질적 생산 규모의 증대를 나타내는 ‘실질 GRDP’로 볼 경우 수치의 변화는 더 확연하다. 창원시의 실질 GRDP(2010년 연쇄가격 기준)는 지난 2009년 30조7027억원에서 2010년 33조6788억, 2011년 34조6699억으로 증가했지만, 2012년 34조5956억, 2013년 34조252억, 2014년 32조311억까지 하락한 뒤 2015년 33조4555억원으로 소폭 회복했다. 지역내 실질적 생산 규모가 몇조 단위로 하락세를 보인 것이다.

    지역경제 침체는 노동자들의 저임금화와 실업자 양산, 사업체 영세화 등의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과거 창원은 평균 임금이 높아 부자동네로 불렸다. 통합 이후인 2011년 창원지역 도소매업자와 기업체 종사자 등 전체 노동자의 실질 평균 임금(통계청·지역별고용조사 하반기 기준)은 224만원으로 전국 평균 222만원보다 높고, 지난 2014년에도 243만원으로 전국 평균 233만원, 7대 도시 평균 239만원보다 많았다.

    전반적으로 창원지역 노동자들의 월평균 실질임금이 전국 및 7대 도시의 평균보다 월등히 높았지만, 지난 2017년 창원의 실질임금은 246만원을 기록하면서 전국 평균 249만원, 7대 도시 평균 252만원에 못 미치는 수준을 보였다.

    또 사업체의 영세화 현상도 이어지고 있다. 창원의 사업체 수는 2010년 7만3132개에서 2015년 8만3204개로 늘어 연평균 2.61% 증가했다. 이는 전국 연평균 증가율 2.92%에 미치지 못하는 수치다. 여기에 종사자 수는 2010년 39만9138명에서 2015년 43만6731명으로 늘어 연평균 1.82%의 증가율을 보였지만, 이 역시 전국 연평균 증가율 3.43%에 미치지 못했다. 결국 사업체당 평균 종사자 수로 따져보면, 오히려 지난 5년간 연평균 0.21%p씩 감소한 것으로 창원지역 사업체가 영세해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실업자 수가 급증하는 현상은 심각한 상황으로 지적된다.

    창원의 실업률은 전국 및 7대 도시보다 낮았지만, 조선업의 구조조정 등이 시작된 2014년 이래 꾸준히 증가해 현재 다른 도시들의 평균을 넘어서고 있다. 지난 2011~2017년 기준 취업자수는 0.7%의 연평균증가율을 보였지만, 실업자수는 10.7%의 연평균증가율을 기록했다.

    이는 창원의 경제를 이끄는 제조업 등 주력산업이 부진했기 때문이다. GRDP에서 제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 정도다. 그만큼 제조업의 경쟁력이 떨어졌다는 의미다. 제조업 중 기계, 금속, 자동차, 전기장비, 기타운송 제조업(조선업 포함)은 창원의 경제를 이끄는 5대 기반산업으로 꼽힌다. 제조업의 경제규모는 수출에 의존하는 비중이 높아 대외적 환경 변화에 상당한 영향을 받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정호진 창원시정연구원 연구위원(경제학 박사)은 “통합 창원시가 출범한 이후 지난 2011년부터 2016년까지 유럽 재정위기, 저유가에 따른 중동국가 투자위축, 중국발 공급충격 등 해마다 대외 경제 악재들이 닥쳐 왔다. 연이어 국내에선 조선, 자동차, 철강과 같은 지역 주력산업의 구조조정이 진행되는 등 제조업이 전반적으로 침체기를 겪었다. 이러한 위기들이 지역경제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 연구위원은 “국가적으로도 제조업은 위기상황이고 특히 태생적으로 산업도시인 창원이 더 큰 타격을 받은 것이다. 하지만 창원의 제조업은 여전히 강점이 더 많기 때문에 첨단화를 통해 더 큰 경쟁력을 갖출 수 있다고 본다. 창원시나 기업체들 역시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안타까운 것은 이 구조를 고도화하는 데 적지 않은 시간이 필요하고 그 효과도 빨리 나타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고 말했다.

    정 연구위원은 앞서 지난 10월 열린 ‘2018 창원경제대토론회’에 주제 발표자로 참가했다. 그는 고용·생산·수출 등의 경제지표를 분석한 창원의 경제상황을 발표하고, 경제 활성화 방안으로 단기적으로는 △지역밀착형 SOC(사회간접자본) 중심 지역경기 증진 유도를, 장기적으로 △미래산업 분야 국가 메가 투자프로젝트를 이끌 ICT 소프트웨어 인재 및 창업생태계 육성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창원시 인구

    인구 역시 도시 경쟁력과 맞물려 있다. 창원시는 저출산·고령화로 인구 증가가 줄고 있는 데다 도시 유출 인구까지 더해지면서 다른 도시보다 인구 감소세가 가속화돼 왔다. 2010년 7월 통합시가 출범할 당시 인구는 108만이었다. 그해 109만을 돌파하고 이듬해 109만1881명으로 최대치를 기록한 이후 7년간 하락세다. 2013년 108만3731명, 2014년 107만5168명, 2015년 107만64명, 2016년 106만3907명, 2017년 105만7032명으로 감소했다.

    올해 11월말 기준으로 105만4154명이다. 창원시와 창원시정연구원은 창원시의 인구 추이(2011~2016)를 분석해 그 원인을 파악하고 있다. 한 해 창원시의 인구 증가(출생-사망)는 5000명에 그치지만, 사회적 유출(유입-유출)이 1만명에 달하면서 연평균 약 5000명씩 줄어든 결과다.

    지난 2011년~2016년 인구가 가장 많이 유출된 지역은 김해(24.3%), 서울(16.2%), 경기(9.0%), 부산(8.0%) 등의 순으로 인근 동남권으로 인구 유출이 전체 유출 인구의 57.3%를 차지했다. 인구 유출 3대 요인은 주택, 직업, 교육이었다. 저출산 및 고령화, 주력산업 침체, 높은 주택 가격으로 인한 이사 등이 원인으로 분석됐다. 특히 전체 유출인구의 43.5%는 20~39세에 속해 젊은 연령층의 인구 유출이 심각한 것으로 파악됐다.
    메인이미지

    창원시는 그간의 대책만으로 한계가 있다고 보고 향후 4년간 1307억원을 투입하는 ‘창원형 인구정책’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시는 창원형 인구정책 발표를 통해 영유아와 아동청소년, 청년, 중장년, 고령층 등을 나눠 생애주기별 17대 핵심 프로젝트, 36개 실천 방안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창원형 인구정책의 목표 인구는 120만명이다.

    김재경 기자 jkkim@knnews.co.kr

    메인이미지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 관련기사
  • 김재경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