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19일 (금)
전체메뉴

[세상을 보며] 경남형 스마트팩토리 vs 강소연구개발특구- 이명용(경제부 부장)

  • 기사입력 : 2018-12-13 07:00:00
  •   
  • 메인이미지


    김경수 도정 출범 이후 경남도가 침체의 늪에 빠진 제조 혁신을 위해 스마트 공장(팩토리) 확산에 올인하고 있다.

    그동안 단순 가공 위주로 해왔던 도내 제조업이 중국 등 저임금을 바탕으로 한 후발국가의 추격으로 설자리를 잃고 있는 데다 현 정부 들어 최저임금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차원에서 이뤄지는 것으로 보인다.

    세계적으로 미국, 독일, 일본 등 주요 국가들의 제조혁신과 그 궤를 같이하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공장이 만능은 아니다. 다른 경쟁국들보다 먼저 이를 선점할 경우 가격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있지만 일거리가 없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고, 앞으로 스마트공장도 보편화되면 더 이상 경쟁우위로 작용하지 않을 것이다.

    스마트공장이 제조과정에서 생산성을 높이고 불량률을 감소시켜 주는 최적화된 맞춤형 공장에 불과하고 다른 업체보다 뛰어난 스마트한 제품을 만들어 내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결국 기업들은 스마트공장 구축과 함께 스마트한 제품을 만들어 낼 수 있는 기술력을 동시에 겸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경남 도정에선 기업들의 기술력을 끌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개발 인프라 확보에 적극 나서지 않는 것 같아 아쉽다. 지역산업과 연관된 각종 국책 연구기관의 분원을 비롯, 대기업 연구소 등의 유치를 통해 지역기업들과 호흡을 맞춰 제조에서 연구중심으로 탈바꿈하도록 하는 것이 시급하기 때문이다.

    스마트공장 확산이 경남 제조업의 생산성 향성을 위한 하드웨어라면, 연구개발 인프라는 스마트한 제품을 만들어 내기 위한 소프트웨어다. 하드웨어가 뛰어나더라도 소프트웨어가 뒷받침되지 않으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

    그동안 도내 중소기업들은 단순 제조 위주로 사업을 해왔기 때문에 연구역량이 부족하고 기술개발을 통한 사업화에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대비도 같이 이뤄져야 하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올해 변경된 제도에 맞춰 내년 상반기에 강소연구개발특구를 신규로 지정할 계획이어서 주목을 끈다.

    경남도도 최근 창원과 진주, 김해, 양산 등 4개 권역을 특구로 지정받기 위해 용역보고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연구개발특구는 연구개발 결과인 특허와 기술을 적극 활용해 창업을 하거나 기업에 이전시키고 사업화를 촉진하자는 취지로 만들어진 공공기술사업화 촉진지구로 매년 20억원의 연구개발비를 비롯, 각종 지원이 이뤄진다. 지역에서 지정되면 중소기업에게 기술이전이 쉬워 기술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연구소기업의 활발한 설립으로 기술창업의 활성화도 기대되는 등 장점이 많다.

    전문가들은 “경남은 첨단신기술 개발, 이전 접목이 상대적으로 더딘 기계산업 중심이고 첨단 신기술을 만들고 가동할 인력양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강소연구특구의 혜택을 활용해 자체 인력양성·기술개발·기술이전·기술사업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이런 이유로 경남도 지난 2011년부터 매년 연구개발특구 지정 신청을 했지만 실패하고 말았다. 많은 기업들이 산재하고 있어 지정 당위성이나 필요성은 높았지만 정치적 논리가 작용한 탓이다. 경남 정치권도 적극 나서야 하는 이유다.

    경남도가 이번 연구개발특구 지정을 시작으로 R&D인프라 확충에 적극 나서 단순 제조에서 연구 중심의 기업을 적극 키워야 한다.

    이명용 (경제부 부장)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