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3월 19일 (화)
전체메뉴

창원 대형쇼핑몰, 지역사회에 어떤 영향 미쳤나

[진단] ‘스타필드 창원’ 입점 (2)
지역민 채용 늘었지만 골목상권 무너졌다
2000년대 대형유통업체 속속 진출

  • 기사입력 : 2017-12-12 22:00:00
  •   
  • 신세계가 ‘스타필드 창원’ 입점 의사를 명확히 하면서 찬반 논란이 본격화되고 있는 가운데, 2000년대 들어 창원지역에 속속 진출한 백화점·대형마트 등 대형유통업체가 고용창출과 공익사업 기여 등의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지역 골목상권 매출감소 등 부정적인 면이 크게 갈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인이미지
    창원지역 대형유통업체 중 창원시청 앞에 위치한 롯데백화점 신관(왼쪽부터)·롯데백화점 창원점·롯데마트 창원중앙점·신세계 이마트 창원점./경남신문DB/



    ◆창원지역 백화점·대형마트 현황= 12일 창원시에 따르면 창원지역에 위치한 매장면적 3000㎡의 대형유통업체 중 백화점은 5개, 대형마트는 12개다. 성산구가 백화점 3개·대형마트 2개 등 총 5개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마산합포구 백화점 2개·대형마트 2개, 의창구 대형마트 3개, 마산회원구 대형마트 3개, 진해구 대형마트 2개 순이었다.

    상권별로는 유동인구가 많은 창원시청 인근을 중심으로 상남동에 롯데백화점·롯데백화점 신관·대동백화점, 중앙동에 롯데마트 창원중앙점과 신세계 이마트가 등의 대형유통업체가 집중적으로 분포해 있다.

    ◆지역민 고용 및 공익사업 기여= 창원시는 올해 2월 시내 대형유통업체 16개를 대상으로 지난해 지역사회 기여활동을 조사했다. 기준은 지역인력 고용, 공익사업 참여, 지역용역업체 활용, 지역상품 상설매장 운영, 전통시장 전담제 운영, 상생협력 특수시책 등 6가지 항목의 ‘상생협력 가이드라인’ 이행 여부였다. 조사 결과, 지난해 지역민 고용비율은 직영·협업·임시인력을 모두 포함해 95.4%로, 대형유통업체가 상당수 인력을 지역민으로 채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표치인 96%에는 못 미쳤지만 전년(94%) 대비 1.4% 늘었다.

    공익사업 참여 규모는 2015년 4억3900만원에서 7억5500만원으로 3억1600만원(72%) 증가했다. 지역용역업체 활용도 55%로 전년 26%였던 것과 대비해 2배 이상 늘었다. 지역상품 상설매장은 13개소에서 운영하고 있고, 봉사단 운영, 교통안전시설 설치, 행사장 무료대관 등 상생협력 특수시책은 16개 업체 모두가 참여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일부 목표치에 미달된 부분도 있지만 전체적인 경기가 침체되는 상황에서 더 높은 수준을 요구하긴 어렵다”며 “하지만 앞으로 대형유통업체들을 독려해 참여를 이끌어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일부 지역 매출 늘고 대부분 침체=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의 ‘소상공인 현황’을 보면, 대형유통업체들이 들어선 2000년대에도 소상공인 사업체 수에는 큰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창원시 5개 구별로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대형유통업체 밀집 지역과 그렇지 않은 지역의 월 매출 차이는 컸다. 가장 많은 대형유통업체가 들어선 창원시청은 올해 9월 기준 소상공인의 월 평균 매출이 4654만원으로 전체평균 3299만원보다 1000만원 이상 높았다. 창원지역 13개 주요상권 가운데 평균 이상인 상권은 창원시청이 유일한 것으로 집계됐다.

    대형유통업체가 밀집돼 큰 상권을 이루면서 유동인구가 몰려 인근 소상공인 매출신장에 도움이 됐지만, 풍선효과처럼 다른 상권에는 악영향을 미쳤다는 해석이 나온다.

    승장권 창원소상공인연합회 회장은 “결국은 큰 상권에 사람들이 움직이게 마련이다. 하지만 그만큼 외곽 상권은 어려움을 겪기 마련이다”며 “업종별로 보면 상남·중앙동은 옷, 신발, 채소 등 재래시장보다 술과 유흥이 많아서 대형유통업체의 여파가 덜한 면도 있지만 재래업이 있는 곳에는 엄청난 타격을 준다”고 말했다.

    특히 대형 유통업체의 잇단 진출 이후 지역 자영업자들의 체감경기는 매우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발전연구원이 동네슈퍼·골목식당·제과점·세탁소·문구점 등 대형 유통업체와 경쟁관계에 놓인 업종을 조사해 지난 2013년 12월 발표한 ‘경남의 소상공인 실태와 일자리 창출 방안’ 용역보고서를 보면, 대형 유통업체들이 들어선 창원시 등 도내 시 지역 소상공인 66%가 순수익이 감소했다고 응답했고, 증가했다는 반응은 9.7%에 그쳤다. 순수익 감소 이유로는 전체의 43.2%가 주변지역에 대형업체의 출현을 지목했다. 이 조사는 18개 시·군의 소상공업체 2050개소를 대상으로 했고, 이 가운데 창원시가 200개소(약 10%)로 가장 많았다.

    안대훈 기자 adh@knnews.co.kr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 관련기사
  • 안대훈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