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   유튜브  |   facebook  |   newsstand  |   지면보기   |  
2024년 04월 19일 (금)
전체메뉴

[세상을 보며] 김해공항 소음문제, 경남도도 관심 가질 때다- 허충호(김해본부장·국장)

  • 기사입력 : 2017-07-26 07:00:00
  •   
  • 메인이미지




    인구 55만명의 김해에서는 ‘하늘의 소음’이 일상적이다. 김해공항을 오가는 항공기 때문이다. 김해로 이사온 많은 이들은 시도 때도 없이 들리는 소음에 혀를 내두른다. 보도를 접해 알고는 있었지만 이 정도일지는 몰랐다는 이도 있다. 수십 년간 소음에 노출된 토박이들은 자신들이 익히 듣던 소리가 그토록 심한 것이었나 새삼 되돌아볼 정도다.

    이런 가운데 한 곳에서는 ‘김해신공항’ 건설 논의가 한창이다. 국토부 계획대로라면 모두 4조1700억원을 들여 현재 651만㎡의 공항을 965만㎡로 확장하고 현 김해공항 서편에 3.2㎞의 활주로를 1본 신설한다. 기존 3.2㎞와 2.744㎞의 활주로와 함께 연간 20만9000회 이착륙 용량을 갖추는 게 골자다. 활주로가 증설된다는 것은 김해시민들이 겪어야 할 소음의 강도가 지금보다 훨씬 높아진다는 얘기와 통한다.

    관련 자료를 보면 김해공항 운항 규모는 지난 2014년 7만8646회(하루 214회)이던 것이 2015년 8만7709회(236회)로, 지난해에는 9만9358회(272회)로 더 늘었다. 현재 운항규모로도 귀가 시끄러울 지경인데 공항이 확장될 경우 그 강도가 얼마나 될지 짐작조차 어렵다. 이런 상황에서 국토부는 신공항으로 인한 소음피해 예상가구가 ADPi(파리공항공단 엔지니어링)의 평가치인 870가구보다 훨씬 적은 300가구라고 한다. 김해시가 경남발전연구원에 의뢰해 소음피해구역을 예측한 결과와 비교하면 황당한 수준이다. 김해시 용역자료에서 소음피해지역은 현재보다 6.2배 넓은 12.22㎢에 이르고 직·간접 피해 시민도 8만6000명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해공항시민대책위원회가 지난 7월 시민 1171명을 대상으로 항공기 소음에 대한 설문조사를 한 결과, 57.5%가 심각하다는 응답도 했다.

    사정이 이런데도 국토부가 지난해 8월 기자간담회에서 내놓은 소음대책은 연간 약 60억원 규모의 지역투자를 하겠다는 것뿐이다. 신활주로가 김해 중심지를 향해 있는 구도에서 내놓은 대책 치고는 참 초라하다. 그것도 부족해 일부에서는 활주로 3.8㎞ 이상 연장과 종일 운항 주장도 펴고 있다. 이쯤 되면 55만 김해시민은 ‘봉’이다.

    김형수 시의원은 김해신공항 추진 기본계획과 함께 소음문제에 대한 전략환경영향평가를 앞두고 있는 만큼 그 결과에 따라 김해시민이 겪게 될 소음문제가 심각하다면 김해신공항 사업 진행 방식은 변경 또는 수정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전적으로 동의한다.

    항공기 이륙 소리에 화들짝 놀라 잠에서 깨거나 창문틀이 흔들리는 지역만 소음피해지역이 아니다. 항공기 소리에 TV 볼륨을 일시적으로 올리거나 상대방의 전화대화 내용을 대충 감으로 짐작하는 상황을 겪는 것도 분명 심각한 소음피해다. 시도 때도 없이 반복된다면 아주 심각한 문제다. 김해신공항 소음대책은 이런 접근 기준에 따라 해법을 찾아야 한다.

    여기서 짚어볼 게 하나 더 있다. 바로 경남도의 역할이다. 김해공항 소음문제는 김해시만의 문제가 아니다. 340만명인 도민의 16%가 거주하는 지역의 문제다. 이런 인구구조를 감안하면 경남 전역을 관할하는 광역자치단체가 나몰라라 할 사안이 아니다. 상급 기관으로서 당연히 김해시와 공조해 도 차원의 목소리를 내야 할 시점이다. 광역자치단체는 그런 역할을 하기 위해 존재한다. 김해시민의 쾌적한 밤을 위해 이제 경남도가 함께 목소리를 낼 때다.

    허 충 호

    김해본부장·국장

  • < 경남신문의 콘텐츠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크롤링·복사·재배포를 금합니다. >
  • 허충호 기자의 다른기사 검색
  • 페이스북 트위터 구글플러스 카카오스토리